본문 바로가기

기술평가 방식 중 시장접근법, 비용접근법 설명

여행민국 2022. 7. 19.
반응형

(2) 시장접근법

 

시장접근법(market approach)은 평가대상 기술자산과 유사한 기술의 최근 거래가격을 기초로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시장접근법은 유사한 기술에 대한 신뢰성 있는 거래자료가 있으며, 거래가격이 시장에서 공정하게 결정될 경우, 다시 말해서 시장의 효율성(market efficiency)이 전제될 경우 가장 직접적이고 체계적으로 기술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유사 기술의 거래자료가 거의 없는 현실을 고려할 때 실제 적용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는 기술가치 평가방법이다.

시장접근법에서는 실제 시장에서 이루어진 유사기술의 판매와 라이센스에 대한 거래자료를 기초로 평가하려는 기술의 시장상황과 조건 등을 조정하여 평가한다. 시장접근법은 다른 기술가치 평가기법에 비해 매우 복잡하고 엄격한 분석과정을 거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 그림과 같다.

 

비교대상 유사기업 선정기준 설정 비교가능 유사기업 선정 분석대상 기간설정 비교가능 유사기업 자료수집






기업가치 평가 금액 산출 대상 기술에 대한 승수 조정 적용할 승수 유형결정과 산출 상대적 비교가치 평가기준 설정






기술기여도 산정 최종 기술가치 평가금액 결정



 

() 시장접근법을 이용한 가치평가 절차

 

일반적으로 시장접근법을 이용하여 기술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르게 된다.

 

- 자료의 수집과 선택
- 선택된 자료의 분류 및 검증
- 거래범주의 결정
- 비교단위의 결정
- 조정승수의 조정 및 적용
- 가치결정 및 피드백

 

() 시장접근법의 장단점

 

대상 기술의 가치 평가시 비교 가능한 실제 시장거래가 존재할 경우, 비교 가능한 자산의 과거 실적이 존재할 경우, 그리고 비교 가능한 자산의 거래정보에 대한 접근이 가능할 경우 시장접근법은 매우 유용한 가치평가 방법이다.

시장접근법을 사용하여 기술가치를 평가할 경우의 장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시장접근법에서는 승수(multiples) 또는 비교대상 기술의 기술거래 정보를 기초로 평가하기 때문에 미래 상황에 대한 여러 가지 복잡한 가정 및 추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수익접근법에 의한 평가보다 평가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 간편하고 이해하기 쉽다.
- 시장접근법은 유사한 실제 시장거래를 기초로 평가하기 때문에 기술거래 시장의 현재 상황을 반영할 수 있다.

 

반면에 시장접근법은 대부분의 무형자산이 각기 독특한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유사한 거래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시장접근법에서는 위험, 잠재성장률, 현금흐름 등의 요소가 간과되었기 때문에 평가금액 추정 시 일관성이 결여될 수 있다.
- 시장접근법에서는 승수를 이용하여 대상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승수는 현재 시장의 상황을 반영할 뿐 미래 시장에 대한 상황을 반영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가치평가 결과가 과대 또는 과소될 가능성이 있다.
- 유사기술 거래와의 비교를 통한 승수조정 등에 분석가의 주관이 개입될 요소가 많기 때문에 평가에 대한 투명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3) 비용접근법

 

비용접근법(cost approach)은 대상기술이 보유하는 미래의 용역창출능력을 얻기 위하여 소요되는 금액을 산출하여 기술이 가져다주는 미래의 효익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비용접근법에 의하면 기술가치는 평가일 현재 대상기술과 동일한 것을 생산 또는 입수하기 위해 소요되는 투입가치(input value)와 같다.

투입가치를 결정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동등한 기술의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인 재생산원가(cost of reproduction)'와 동등한 효용을 가진 기술의 입수에 소요되는 비용인 대체원가(cost of replacement)'가 있다.

비용접근법은 평가대상기술을 개발하기까지 소요된 물적인적 자원의 가치를 합산한 후, 이를 현재가치화 하는 방법으로 측정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비용접근법은 평가대상 기술의 수익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갖는다.

 

() 기술자산 원가구성 요소

 

비용접근법을 이용하여 기술자산의 가치를 평가할 때 기술자산을 구성하는 원가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 재료비
- 노무비
- 제조간접비
- 기술개발자의 이익
- 기업가적 보상
- 감가상각된 대체비용법

 

() 비용접근법의 장단점

 

비용접근법은 이해하기 쉽고 계산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 반면, 경제적 이익이나 경제적 효익을 획득할 수 있는 기간이 그 평가액에 직접 반영되어 있지 않다는 한계를 갖는다. 비용접근법은 일반적으로 기술가치 평가에 사용되고 있는 수익접근법과 시장접근법에 비하여 객관성과 타당성이 결여되어있다고 평가된다. 비용접근법이 갖는 한계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비용접근법에서는 기술자산으로부터 미래에 창출될 수 있는 경제적 효익과 규모는 직접 고려하지 않는다.
- 해당 기술과 관련된 제품에 대한 미래 잠재수요의 추세와 시장의 경쟁수준 등 시장에 관한 분석정보도 가치평가에 반영하지 않는다.
- 기술과 관련된 제품이 발생시킬 수 있는 경제적 유입기간은 가치평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만 비용접근법에서는 이를 직접 고려하지 않는다.
- 기술과 관련된 제품에 내재된 여러 가지 불확실성 요소를 반영하지 않는다.
- 진부화에 따른 영향을 가치평가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조정이 필요한데 진부화의 정보를 계량화하는 것이 어렵다.

댓글